[저평가 분석] 관련 앱 탐구 ① - 퀀트랙
주식 관련 앱을 탐구하고 저평가 분석기를 구체화할 때 참고해보려고 한다. 처음 알아볼 앱은 퀀트랙이다.
다양한 주식 앱 중 퀀트랙은 저평가 분석기와 매우 유사했다. 마치 고민하던 저평가 분석기의 업그레이드 버전 같다.
퀀트랙의 특징과 강점을 파악하고 차별화할 부분과 배울 점을 확인해본다.
퀀트랙, Quantrack
개요
유튜브에 기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있다.
퀀트랙은 전 세계 상장기업의 적정가치를 IT 혁신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추적하는 AI 기술입니다.
퀀트랙(Quantrack)의미
= 퀀트(Quant) + 트랙(Track)
'퀀트'는 상장기업의 재무, 회계, 주가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트랙'은 무언가를 ‘추적’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퀀트랙 미션: “세상 모든 상장기업의 가치 평가는 퀀트랙 하나로 충분하다.”
지구상에서 가장 신뢰도 높고 혁신적인 주식투자지표를 제공하여 가치 투자의 새로운 기준이 된다.
복잡하고 어려운 상장기업 가치평가를 알기 쉽고 투자실천이 가능한 투자지표로 만들어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재무적으로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더 건강한 글로벌 금융투자 문화를 선도한다.
이름의 의미와 미션을 보면 알 수 있듯, 일반 투자자가 상세히 분석하기 어려운 기업의 재무, 회계, 주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 세계 상장 기업의 가치 평가를 돕는 앱이다.
2011년부터 10년간 개발해 온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전 세계 모든 상장 기업의 적정 가치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뒀다.
상장기업의 재무제표를 동종업계 기업들과 비교 분석해 ‘단 하나의 지표’(Q-Value)로 제공, 금융 데이터의 접근성을 높였다고 평가받았다. 이에 따라 2021년 서울금융위크에서 금융감독원장상을 수상한 바 있다.
서비스 특징
방대한 주식 관련 데이터를 정량 분석한 결과로 상장 기업의 가치를 추산하고, 이를 인공지능 분석해 알맞은 투자 방법을 알려주는 ‘퀀트 투자’ 서비스의 일종이다.
스마트폰에 퀀트랙을 설치하고 아이콘만 몇 번 누르면, 미국과 우리나라의 주요 가치주들을 찾아 제시한다. 이들 가치주의 주식 거래 흐름과 차트, 성과와 전망, 시장 환경 분석 결과도 보여준다. 여기에 소비자의 투자 성향을 입력하면 종목 100~300개를 모아 개인 맞춤형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를 내놓는다. 일반 주식 투자자는 이 정보를 토대로 투자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하면 된다.
상장기업의 재무제표를 동종업계 기업들과 비교 분석해 상승 여력 정보를 제공하여 초보 투자자의 접근성을 높였다. 상승 여력은 퀀트랙 자체 기술로 예측한 적정 주가와 현재가의 차이를 통해 주가가 얼마나 상승할 수 있을지를 계산한 값이다.
한국 및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1만2500여개 기업의 적정 가치를 평가하고 제공한다. 심지어 각 기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포함되어 있고 업종 별로도 정리되어 있다. 기간 별 수익률 상위 업종이 무엇인지, 해당 업종에 속하는 종목들은 무엇인지도 터치 몇번만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증권 정보 서비스와 달리, 기업 주식의 가치 분석은 물론 기술적 분석에 기반한 매도 시점까지 제시한다. 단기와 중장기 시장 상황 분석도 제공하며 기업의 업종, 테마별 분석도 해낸다.
최소 2년(8분기) 데이터를 분석한 후 평가 정보를 제공한다. 상장 후 2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은 앱의 평가 대상이 아니다.
빠른 종목발굴 필터 예시 | 투자 백테스팅 조건 예시 1 | 투자 백테스팅 조건 예시 2 |
---|---|---|
![]() | ![]() | ![]() |
종목발굴 기능을 통해 원하는 조건의 기업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업종, 재무적 변동 사항, 주가 변동폭을 조정한 후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백테스팅해 특정 전략의 효과를 검증해볼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마인드셋
마인드셋은 고객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개인별로 차별화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퀀트랙의 새로운 기능이다. 개인 투자 성향에 따라 주가 분석을 다르게 제공한다고 한다.
세부 기능 확인
앱 시작 시 기능 및 활용법에 대한 설명
Q1. 지금 가지고 있는 종목을 팔고 싶다면?
예상실적, 상대적 재무 평가, 종목이 속한 업종 수익률, 시황 등 다각적 분석 제공 → <AI 상승여력>으로 한번에 알려준다.
기술적 지표를 통한 매수, 매도 타이밍 알림
Q2. 어떤 종목을 사야할지 모르겠다.
1만여개 상장기업 중 재무 상태가 좋고,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종목 추천 → <AI의 발견>
재무, 기술적 지표, 베타 등을 활용해 살만한 종목 발굴 → <종목발굴>
Q3. 주식 투자를 위해 이것저것 신경쓰기 힘들다.
투자에 유용한 정보 제공 → <내 주식 소식>, <시황 체크> 리포트 일단위 전송
Q4. 보유 주식, 이대로 괜찮은가?
보유 주식 포트폴리오 관리 → 시장수익률과 비교, 투자 위험도와 뉴스, 상승여력 변동, 백테스팅 기능 제공
수익률 관리, 살만한 종목 찾기, 시황/업종 흐름 읽기
퀀트랙 세부 기능
크게 주식과 ETF를 나눠서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조회한 종목
유저가 최근 조회한 종목 기록
개별 주식 정보
AI와 살만한 종목 찾기
AI가 발견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종목들(한국, 미국 나눠서 추천)
구독자들이 많이 찾는 목록
최근에 상승여력이 좋아진 주식, 상승여력 상위 주식
인기테마
인기 테마와 각 테마별 수익률 정보
이번주 수익률 상위 테마
기간 별 수익률이 좋았던 테마 관련 정보 제공(수익률, 인기 별)
각 테마(업종) 별 특징 소개와 가격 변동 추이, 테마에 속한 종목 별 현재가와 등락률 정보 제공
내 종목 상승여력은 얼마? 직접 검색해보세요!
종목 검색 기능
실시간 주식 차트
업종으로 종목 찾기
상승장, 하락장을 나눠 시장 평균 수익률보다 수익률이 높았던 업족 추천
‘진단’을 통해 전반적인 정보를 모두 제공한 후, ‘차트’, ‘재무정보’, ‘업종비교’로 분류해 더 상세한 정보 제공. 진단과 중복하여 제공되는 정보도 있다.
진단
AI 종목 진단
상승 여력: 예상 주가와 현재가와의 차이에 따른 상승 여력 제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라도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좋은 지표
AI 분석 리포트
재무상태: PER, PBR, PSR, PCR, EV/EBITDA, POE, PEGR, DF 정보 관련 업종 평균과 비교, 업종 내 순위 정보 제공
주가추세: 특정 기간과 비교하여 주가가 얼마나 변동했는지, 차트로 확인
시장상황: 국내 주식 시장 분석 정보 제공
업종흐름: 업종이 상승장, 하락장에서 어떤 추이를 보였는지 시장수익률과 비교한 정보 제공
업종비교: 업종, 시장 대비 기간 별 수익률 추이 비교, 업종 내 다른 기업과 직접 비교
최근 1년간 주가
52주 최저, 최고가 정보, 52주 최고가 대비 차이, 52주 베타 + 베타에 대한 설명
기업 정보
기업 정보 관련 짧은 요약 제공, 시가총액, 시총순위 정보
관련 업종 내 n개 종목과 비교
1주, 1개월, 6개월, 1년, 2년 단위 수익률 비교(해당 기업, 업종, 시장 전체)
회사 규모와 성장세 비교: 분기, 연간, TTM 별 시가총액, 매출, 영업이익증가율, 순이익증가율 비교(해당 기업, 업종평균, 업종 내 순위)
뉴스
관련 뉴스 제공
차트
주가 추이
기간 별 주가 추이 제공 → Trading View에서 불러와서 제공
기술적 지표로 매도매수 타이밍 잡기
기술적 지표 관련 설명과 함께 매수매도 타이밍 추천
투자자별 매매동향
기관 or 외국인이 n일 간 순매수인지 순매도 인지 정보
일일 순매수 정보(개인, 기관, 외국인)
누적 순매수 정보(1개월, 3개월, 6개월, 개인, 기관, 외국인)
공매도 현황
재무정보
지난 n년, 분기별 재무 지표 변화 추이 정보, 각각의 중요도나 간략한 설명을 함께 제공해준다.
EPS, 매출액, 매출성장률(산업 평균 매출액 성장률과 비교), 영업활동현금흐름,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영업이익률 산업 평균 비교, 투자활동현금흐름
업종비교
이 업종의 대장주가 될 종목인가?
기간별 수익률 비교(업종, 시장 평균 대비)
회사 규모와 성장세 비교: 분기, 연간, TTM 별 시가총액, 매출, 영업이익증가율, 순이익증가율 비교(해당 기업, 업종평균, 업종 내 순위)
상세 재무 지표 비교
업종 내 다른 종목들과 직접 비교
ETF 정보
개별 주식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기본적인 틀은 동일하며, ETF 특성에 맞춰 재무 정보는 빠지고, ETF 관련 정보가 추가되었다. 따라서 추가된 부분만 기재하였다.
진단
ETF 정보
운용기관, 운용기간, 거래량, 수수료, 운용규모, 운용규모 순위
ETF 비교하기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는 다른 ETF와 비교
ETF 명, 수수료, 배당률, 거래량 평가, 운용기관
지금 주목받는 ETF
수익률, 거래량, 자금유입을 기준으로 각각 상위 ETF 정보 전달
오늘의 시장 체크하기
한국장 개전 전에 미국장 체크
미국장 추이에 따라 한국장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설명 (미국장이 올랐을때 한국장도 오를, 떨어질 확률(주간, 일간), 미국 국채 수익률의 영향)
오늘의 시황 뉴스
AI가 분석한 주식 시장(시장 리포트)
함께 읽어보면 좋을 글
실시간 내 주식 보고서
내 주식 가격확인
오늘 상승여력이 달라진 주식
이번주에 상승여력이 달라진 주식
기술적지표 알림
내 주식 뉴스
오늘 시황 뉴스
종목발굴
빠른 종목발굴
살만한 종목 쉽고 빠르게 찾기
선택 조건: 시장, 업종, 상승여력, 1주당 가격, 기술적 지표, 분기 매출, 연간 매출, 분기 영업이익, 연간 영업이익, 분기 당기순이익, 연간 당기순이익, 재무상태 직접 추가, 베타, 거래정지 제외
투자 백테스팅
내가 만든 전략 수익이 날까?
매수매도 조건: 시장, 업종, 상승여력, 매수 시 1주당 가격, 기술적 지표, 재무상태(분기 매출, 연간 매출, 분기 영업이익, 연간 영업이익, 분기 당기순이익, 연간 당기순이익, 베타)
CEO
기사 소개 1
조동현 대표는 스스로가 십수 년 동안 주식 투자를 한 투자자다. 성공과 실패를 여러 차례 겪은 그는 주식 공부를 제대로 하겠다는 각오로 호주로 유학을 떠나 회계학을 배웠다. 그리고 일반 주식 투자자들을 실패로 몰아넣는 원인 중 하나인 정보의 비대칭을 발견했다고 한다.
기사 소개 2
호주 퀸즐랜드 공과대학에서 회계학을 공부했다. 스무 살 무렵부터 주식과 부동산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2020년 3월 4명의 공동창업자들과 함께 호라이존테크놀로지를 설립하고 퀀트랙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링크드인 정보
링크드인에서 CEO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확인해보았다.
과거 이력 중 ‘컴얼라이브 글로벌’을 이끈 경험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중소기업의 세계 진출을 돕는 일을 주로 했다고 한다. 특히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해당 언어에 능통한 이를 파견하는 것이 주요 업무 였다고 하며 번역, IR 피치 개발, 커뮤니케이션, 국가별 리서치, 지역 시장 조사, UX 및 CX 사전 테스트, 로컬라이제이션 등의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때의 경험이 한국만이 아닌 세계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 고안의 계기가 되었을 것 같다.
컴얼라이브 글로벌이 어떤 회사인지 추가적으로 확인해보았다. 링크드인 정보를 보면 웹사이트 URL이 퀀트랙 URL로 되어 있다. 호라이즌 테크놀로지(퀀트랙)를 창업하기 전 조동현 대표가 운영하던 스타트업인 것 같다. 로켓펀치를 보면 과거 흔적으로 보이는 사이트가 남아있다.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회사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으로 업종을 변경한 것으로 추측한다.
CEO 인터뷰 일부 인용
“퀀트랙은 세계의 모든 상장 기업을 분석할 능력을 갖췄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주요 벤처 투자사 플러그앤플레이(Plus & Play), 영국 핀테크 액셀러레이터 굿씽즈(Goodthings), 싱가포르 금융 투자 기업 테니티(Tenity) 등 파트너와 함께 세계 시장에 진출, 성과를 내겠다. 투자 도우미에서 나아가 종합 디지털 자산 관리 서비스로 발전하겠다.”
“개인 투자 성향은 투자의 성패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요인”
“보편적인 분석 정보는 한 개인의 투자 성향을 반영하지 못하지만 개인 맞춤형 정보는 수익 실현에 효과적”
“무엇보다도 고객 투자 성향에 따른 분석 정보를 활용해 투자하면 성공적인 재테크가 가능하다”
“최근 주식 투자에 대한 관심이 이례적으로 높아진 상황”, “하지만 정작 신뢰할 수 있는 증권 정보로 투자 의사 결정을 돕는 정보는 부족하다”, “증권 포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는 어려운 게 많아 새롭게 주식을 시작한 사람들이 가치 투자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퀀트랙 콘텐츠를 구성했다” (210623)
추가적인 언급이 궁금하면 관련 기사를 참고하자.
CEO 인터뷰를 통해 기업의 전략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대표 개인 블로그
조동현 대표 개인 블로그에서 퀀트랙 정보와 대표 정보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상황
2022년 7월 퀀트랙 베타 버전 출시 후 6개월여 만에 방문자 약 31만 명, 월 평균 활성 사용자 약 2만 명을 확보했다. 이 가운데 17%는 미국 주식 투자자다. 회원이 앱을 사용하는 시간도 경쟁 주식투자 앱보다 훨씬 길다고 한다.
24.01.18 기준 퀀트랙 앱 처음 사용 시 등장하는 안내문에는 33만명이 한번쯤은 써봤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23년 미국 실리콘밸리의 주요 벤처 투자사 플러그앤플레이(Plus & Play), 영국 핀테크 액셀러레이터 굿씽즈(Goodthings), 싱가포르 금융 투자 기업 테니티(Tenity)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투자 금액은 알려지지 않았다.
플러그앤플레이 이전인 22년 7월 인포뱅크로부터 5억원을 유치했다. TIPS(민간투자 주도형 기술 창업 지원)에 선정된 후에는 KB증권, NH투자증권, BNK 경남은행 등 국내 7개 메이저 금융사와 MOU 등을 체결하고 금융 AI 기술을 공동 개발 중이다. (230214 기준)
퀀트랙 앱에서 KB증권 계좌를 개설하면 거래가 바로 가능하게 되는 서비스를 현재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오는 3월부터는 KB증권과 연동해 퀀트랙에서 KB증권 계좌를 개설하면 주식 거래가 가능해질 예정이라 거래수수료도 수입의 한 축이 될 전망이라고 한다. (230214 기준) → 계좌 계설 방법이나 퀀트랙을 통한 주식 거래법을 앱에서 찾지 못했다. 내가 못찾는건지 기능이 빠진건지 모르겠다.
국내에선 거래 연동, 자동 매매 등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구독료 모델을 시작하고 안착시키는 게 23년도 과제였다. 플러그앤플레이의 투자로 미국 실리콘밸리를 비롯해 아랍이나 동남아 등지의 사무실을 무상 지원받게 되었다. 글로벌 증권사나 금융사들과의 연계도 수월해졌다. 지난해 KB스타터스 싱가포르에 선정되면서 우선 싱가포르에 사무실을 열었는데,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호주 등지 증권 시장 분석을 시작할 계획이다. (230214 기준)
투자를 받은 이후 광고에도 힘을 쏟고 있는 것 같다. 네이버에서 ‘퀀트랙’ 검색 결과 확인되는 블로그 목록을 보면 거의 대부분 6월 이후로 포스팅이 몰려 있고, 소정의 원고료를 받고 적었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과거 블로그 포스팅 기록은 대체로 퀀트랙 공식 블로그 혹은 조동현 대표 개인 블로그이다.
다음은 혁신의숲에서 확인한 퀀트랙 유저 트래픽 및 재무 정보이다.
트래픽
구분 | 2023-06 | 2023-07 | 2023-08 | 2023-09 | 2023-10 | 2023-11 |
---|---|---|---|---|---|---|
트래픽 | 1,465 | 1,846 | 8,096 | 1.7만 | 875 | 1,634 |
전월대비 성장률 | -64.8% | 26% | 338.5% | 115.6% | -95% | 86.7% |
월간 트래픽의 편차가 크다. 23년도 8월과 9월에 유입이 급증했는데 무슨 이유인지 파악이 어렵다.
최근 정보가 없어 아쉽지만 8월 9월에 특정 이슈로 인한 일시적인 급증이라면 평균적인 트래픽은 1,500여명 정도로 추측된다.
손익
구분 | 2020년 (개별) | 2021년 (개별) | 2022년 (개별) |
---|---|---|---|
매출액 | 27.3만원 | 5,259.8만원 | - |
영업이익 | -1억원 | -2.4억원 | -6.2억원 |
순이익 | -1억원 | -2.4억원 | -5.4억원 |
매출은 늘었으나 수익은 없다. 앞선 정보를 보면 23년부터 본격적으로 투자를 받고 구독 모델이 자리잡은 것 같은데 23년 매출과 이익이 궁금하다.
매출과 영업이익 사이 차이가 20년 1억, 21년 약 3억 정도되는 것 같다. 당시 매출원가나 판관비의 규모가 짐작이 간다. 22년에 비용이 좀더 늘어난 것 같으나 그렇게 비용이 크게 들지 않는 것 같다. 현재 직원수도 혁신의숲에서 확인 가능한데, 9명 수준으로 고정적인 급여 지출도 현재로서는 큰 부담이 아닐 듯하다. 구독료 모델이 안착된 후 사용자가 유지되면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 같다.
수익 구조 - 구독형 서비스
가격 (월 기준) | ||
서비스 목록 | • 종목 상승여력, 분석 리포트 무제한 열람 • 종목 발굴 시 고급 필터 설정 • 과거 투자 성과 2년까지 확인 및 종목 보기 • AI의 실시간 투자진단 그룹 3개 • 살까말까 고민 해결! 관심그룹 3개 관리 • 투자 중인 포트폴리오 3개 관리 | • 종목 상승여력, 분석 리포트 무제한 열람 • 종목 발굴 시 고급 필터 설정 • 종목 발굴 시 필터 직접 만들기 • 종목 발굴 시 기술적 지표 필터 생성 • 과거 투자 성과 5년까지 확인 및 종목 보기 • AI의 실시간 투자진단 그룹 무제한 • 살까말까 고민 해결! 관심그룹 무제한 관리 • 원하는 기술적 지표 알림 받기 • 투자 중인 포트폴리오 무제한 관리 |
구독 모델의 가격과 제공 서비스는 위 표와 같다.
베이직 플랜 기준 1년간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비용은 14,000 * 12 = 168,000 원이다.
위에서 확인한 트래픽은 대략 월 1,500명 정도 수준이었다. 단순히 1,000명의 유저가 베이직 플랜을 사용한다고 가정했을때 구독형 서비스로 인해 창출되는 연 매출은 1억 6800만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유튜브 댓글과 구글 플레이스토어 댓글 반응을 보니 한국 사용자는 무료 체험 2주 후 바로 과금되는 구조를 부담스러워하는 것 같다. 향후 한국에서 서비스 수익이 궁금하다.
외국의 경우 문화적인 차이로 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도 있을 것 같다. 17%의 사용자가 미국인이라고 하고, 23년 다양한 외국계 회사로부터 투자를 받았으니, 이에 힘입어 해외로 확장하게 되면 수익이 더 나아지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재무
구분 | 2020년 (개별) | 2021년 (개별) | 2022년 (개별) |
---|---|---|---|
자산 | 5,852.9만원 | 1.4억원 | 6.1억원 |
부채 | 1.2억원 | 1.2억원 | 3.3억원 |
자본 | -6,504.9만원 | 2,692.5만원 | 2.7억원 |
목표 고객 및 시장
“로(Low)클래스는 네이버증권이나 토스증권으로 주식투자를 시작하고 하이(High)클래스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보고 투자를 결정하는데, 그 가운데 집단은 너무 기초적이거나 또 너무 어려워서 갈팡질팡할 때가 많다”, 매일경제
위 기사 인용을 참고하면 23년 2월 기준 미들(middle) 클래스 투자자가 목표 사용자 집단이다. 투자에 관심이 있으나 직접 사업보고서를 분석하며 기업 가치 판단은 어려운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주는 것이 목적이다.
이들은 투자에 관심이 많고, 트렌트에 민감하고, 경쟁심리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특징을 가진다고 한다. 실제로 퀀트랙의 사용자는 주로 73%가 남성이며 30~45세가 82%를 차지하고 투자금액 1000만원 이상을 주식에서 운용하는 이들로 구성된다고 한다.
한국과 미국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싱가폴, 영국, 미국의 투자회사로부터 투자를 받았으며 향후 전 세계로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한다.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중국 등 글로벌 상장사들의 증권 분석도 확장할 예정이다.”)
향후 각 시장에서의 반응이 매우 중요해 보인다.
전략
가장 자신있는 서비스는 ‘스톡 스크리너(Stock Screener, 주식 검색기, 현재 종목발굴)’라고 한다. 복잡했던 기업의 가치 분석 결과를 단 하나의 지표로 표현한다. 유저들은 스크린에 몇 개의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살만한 주식을 판단할 수 있다.
깔끔한 비주얼리포트도 강조한다. 깔끔한 UI는 유저가 어려운 재무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는데 기여한다.
퀀트랙은 B2C 소비자 확보에 집중한다. 일반 주식 투자자들의 성향과 성과를 확보해 데이터로 만들고, 퀀트랙의 성능을 계속 높이는 구조다. 이렇게 확보한 소비자 데이터를 금융 기업과 함께 다듬고 일반 주식 투자자들을 도울 솔루션도 만든다. 이를 위해 핀테크, 금융, IT 개발 전문가를 적극 섭외할 예정이라고 한다.
기존 로보어드바이저가 ‘주식투자 네가 잘 못하니까 해줄게’라는 개념이라면 퀀트랙은 ‘잘 모르니까 우리가 알려줄게’라고 하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다수의 로보 어드바이저가 경제 변화에 따른 지수 추종 ETF와 채권 등에 분산투자하는 모델이라면 퀀트랙은 AI에 특화된 데이터를 활용해서 좀더 엑티브한 포트폴리오를 직접 운영하거나 어드바이스를 받고 운영할 수 있게 만들었다. 고객이 직접 선택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 정보가 제공된다는 점과 개별 종목을 직접 운영할 수 있다는 점이 퀀트랙 만의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특징이다.
향후 기존 증권사(KB 증권)와의 협업으로 앱 안에서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베트남, 인도네이사 등 다양한 글로벌 지수의 데이터를 지원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 뿐만 아닌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이다. 또 글로벌 사업으로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 금융사들에게 포트폴리오 진단 서비스 연동을 기획하고 있다.
강점
퀀트랙은 전세계 상장사를 모두 분석한다는 점
한국 기업만을 대상으로 삼지 않고, 최근 관심이 커진 미국 및 해외 주식을 커버한다. 이로 인해 전 세계로 확장이 가능해진다.
AI를 재무제표 분석에 접목한 점
마케팅에도 도움이 되고, 더 정교한 가치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깔끔한 비주얼 리포트
직관적인 분석 결과 확인을 돕는다.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되는 단 하나의 지표 제안
주식이 처음인 사람이라도, 아무런 배경 지식 없이도 투자 가치가 있는 기업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재무 정보, 주요 시장 지표에 대한 설명
주식을 공부하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되며, 어떤 재무 지표가 왜 중요한지 판단하기 쉽도록 도와준다.
약점
2주 체험 후 구독(과금)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
2주 사이 앱에 대한 신뢰를 얻지 못한다면 사용자가 구독할까?
기업 가치 평가에 대한 퀀트랙 AI 기술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
내부적인 가치 평가 알고리즘은 기업의 자산이며, AI 분석은 퀀트랙의 핵심 정보이며 특허 기술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작동 방식으로 기업을 평가하는지 알기 어렵다.
고객 평가
구글 플레이스토어
닉네임 평점 일자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내용 살구 1 231119 29명 악성 어플인가요 ? 경고! 설치하지마세요!! 무료체험 기간 전 해지했는데 자동으로 15,000원이 결제 되었습니다. 문의 어디에 하는건가요? 주킹 5 230519 23명 오픈 초기부터 사용했는데 너무 잘 쓰고 있어요. 다만 이전까지는 상승여력을 재무제표 대신 사용한다는 느낌이었는데 이번 업데이트 이후로는 적중률이 훨씬 좋아졌는지 그냥 상승여력 높으면 대부분 맞더라구요 그래서 무지성으로 주어 담고 있습니다. ps.나만의 작은 퀀트랙 화이팅! 송원선 5 230522 26명 자영업 하면서 주식투자하고는 있는데 사실 주식 투자 계속 배울 시간도 없고기도 하고 어렵더라구요. 얼마 전까지 유튜브 유명하다는 채널 보고 따라 하다가 잘 안되고 해서 써보는데 엄청 좋네요. 저는 AI 발견 제일 많이 쓰는데 다른 건 어떻게 쓰는 건지 좀더 쉽게 알려주면 좋을 것 같아용 정세벽 5 230524 8명 주린이인데 이것저것 AI를 활용해 분석해주니 너무 좋아요~~! 신뢰성 높은 자료를 바탕으로 알려주니 저의 판단도 가미할 수 있어서 좋네요! 서승원 5 230520 10명 재무가 건전해서 그런지 장안좋을때도 하락폭이 적네요. 수익내려면 꾸준히 써봐야할듯 심명자 5 230528 23명 지인이 추천해서 계속사용하고잇어요.저도추천하고있어요. 오랫동안 가지고 있을 주식찾을때 좋아요. 감사합니다. 루루 3 231002 8명 환불요청 합니다 음 반값이 아니고 2만원 청구됨 빠른처리 해주세요 박홍기 5 230522 2명 별 기대 안하고 다운받았었는데 ui가 생각보다 엄청 깔끔하고 편해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송문교 4 230521 4명 관심목록에 담아놓은 ai추천주가 3일만에 20%나 올랐네요. 그때 매수할걸 그랬네요… John Heart 1 230716 24명 베이직으로 무료체험했는데 베이직기능도 쓸수가없고 프리미엄으로 가입을유도도하고 뭐하는건지 뾰뾰뾰 1 231012 7명 아무것도 안돼요 깔지마세요 괜히 아이디만 해킹당할까봐 무섭네 OO W 5 230414 5명 직관적으로 정보 주는게 너무 좋네요 정말 잘 쓰겠습니다 장진식 1 231204 1명 상승여력 거짓임 이용하면 할수록 손실 증가함 김도윤 1 230711 15명 무료체험이라 해서 써보고 이용할까 했는데 아무것도 안되네요 BI F (FBI) 5 230517 11명 AI 추천종목 대박!!! Ryan Kim 3 230718 10명 월 3만원 결제 유료앱 ; 글자 폰트 작음 이지훈 5 230524 4명 요즘 이거 보고 수익 나는중 JISUN LEE 1 231114 3명 안열려요 긍정 평가
시간이 없더라도 상승 여력만으로 평가하면 되니 편해서 좋다.
상승 여력 적중률이 높아서 좋다.
재무가 건전해서 그런지 장안좋을때도 하락폭이 적다.
AI 추천 종목이 매우 유용하다.
UI가 편해서 잘 사용하고 있다.
퀀트랙 덕분에 수익이 난다.
부정 평가
AI 발견 외에 다른 기능도 어떻게 쓰는건지 좀더 쉽게 알려주면 좋겠다.
예상치 못한 비용이 결제되었다. 환불해달라.
상승여력 거짓말이다. 쓸수록 손실만 증가한다.
글씨가 너무 작다.
어플이 잘 작동하지 않는다.
후기를 보면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기는 너무 어렵겠다는 생각이 든다. 누구는 좋다고 칭찬한 부분을 다른 누군가는 불편하다고 느낀다. 예를 들어 상승 여력을 참고한 투자를 했을 때 누군가의 결과는 좋았고, 누군가의 결과는 좋지 않았을 수 있다.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는 투자의 특성 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다만 “상승 여력이 도움이 됐다.”, “앱 덕분에 수익이 났다.”는 댓글 비율이 훨씬 많았다. 퀀트랙의 투자 정보는 대부분의 유저가 유용하다고 느낀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UI가 편하다고 느꼈다. 댓글에도 비슷한 언급이 하나 있지만, 누군가는 글씨가 작아서 불편했다고 한다.
부정 평가의 대부분은 예상치 못한 비용 때문에 기분이 나빴다는 내용이다. 무료 체험 후 자동으로 과금이 된 부분에 대해 일부 사람들은 분개한 것 같다.
일부 부정 응답 중 어플이 잘 동작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있다. 종종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라면 보완이 필요할 것 같다.
유튜브
댓글이 많지는 않았지만 유튜브에서도 일부 고객의 리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앱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댓글과 기대하는 댓글이 있는 반면, 유료라 다운받고 삭제했다는 댓글도 보인다. 퀀트랙의 기능이 조건검색식에 한정되는 것으로 착각하여 무시하는 평가를 한 잠재고객도 확인할 수 있다.
마무리
퀀트랙은 주식을 전혀 알지 못하더라도 종목 추천을 통해 괜찮은 종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평가 분석기에서는 이런 점을 차용하되, 퀀트랙에 비해 나이브한 방법을 적용하고 직접 기업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겠다.
‘주식 초보이지만 경제와 기업 분석을 좀더 이해하고 싶은 사람에게 유용한 도구’ 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퀀트렉이 물고기를 잡아준다면, 저평가 분석기는 물고기 잡는데 유용한 도구를 제공한다고 할까나
현재 저평가 분석기에 포함하고 싶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상장된 개별 기업에 대한 핵심 재무 정보 시각화, 수익성 평가 점수, 안정성 평가 점수, 효율성 or 활동성 평가 점수 → 업종 평균과 비교하여 제시
+ 전반적인 시장 상황을 보여주는 매크로 지표
+ 업종 별 매출액 비중을 근거로 한 시장규모 및 점유율 추이 제공
+ 한경컨센서스 활용, 관심 종목 애널리스트 리포트 검색기 제공
초보자를 위한 종목 필터 목록, 재무 정보를 활용함
퀀트랙의 기능 중 상승 여력같이 직관적인 판단 지표 대신 가치투자 발굴비법에서 제안하는 것처럼 재무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필터를 활용해 위험성이 매우 적은 종목을 추천해주면 초보 투자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컨셉 별 주식 필터를 몇 가지 준비하여 살만한 주식을 추려주고자 한다.
초보 X를 겨냥한 유용한 벨류에이션 도구 제공
기업의 재무, 손익 정보를 바로 불러와서 벨류에이션 계산식을 쉽게 확인해볼 수 있는 도구
포트폴리오 관리 및 백테스팅 도구 제공
뉴스, 사업보고서, 애널리스트 텍스트 시각화
+ ML/DL 관련 투자 기법 중 적용할 만한 요소
1, 2, 3, 4는 필수 5, 6은 차근히 추가, 저평가 분석기는 일단 한국 상장 주식만을 대상으로 구현할 계획이다.
퀀트랙의 깔끔한 시각화도 좋았다. 어떻게 하면 제공할 정보를 깔끔하게 표현해서 전달할지 계속 고민해야겠다.
퀀트랙의 고객 평가 내용은 초보 투자자의 특성과 원츠를 파악할 때 도움이 될 것 같다. 앱을 만들때 이러한 점들은 유념해야겠다. 해당 내용을 참고하여 초보 투자자의 원츠를 고민하며 유용할 만한 기능도 계속 생각해 봐야겠다.
저평가 분석기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들은 퀀트랙의 기능보다 초보 투자자 입장에서는 불편할 것이다. 어느 정도는 재무 지표와 투자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평가 분석기는 완전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고, 벨류에이션 도구처럼 퀀트랙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도 있다. 벨류에이션 도구 같은 경우 진입 장벽이 없다. 퀀트랙 같은 앱에서 필요하다면 쉽게 추가하겠지만, 물고기를 잡아다주는 앱이기에 추가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저평가 분석기가 시장에 등장한 후 비슷한 앱이 생길 수 있지만 만들어보고 싶은 앱을 만든다는 것에서 오는 성취감이 더 크기에 걱정되지는 않는다.
참고 자료
전세계 상장사 분석하는 ‘퀀트랙’…해외 3개국서 ‘러브콜’, 230620
호라이존테크놀로지, 인공지능 기반 증권 분석 솔루션 ‘퀀트랙’으로 매매 연동 “데이터·AI·위험관리 툴로 개미도 전문가”, 230214
주식 투자 도우미 퀀트랙 앱 기업분석부터 재무제표까지, 230823, (업체로부터 소정의 원고료 지원)
AI 퀀트투자 주식앱 추천 퀀트랙 첫 달 구독료 90% 할인 구매 방법, 240112, (원고료 지원, 5개월 사용 후기)
더 알아볼 사항
주식 필터
앱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