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ing Machine Learning Systems] 피처 엔지니어링

Practical lessons from predicting clicks on ads at facebook⌟에서는 올바른 피처를 보유하는 것이 ML 모델을 개발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책의 필자도 협업했던 많은 회사에서 실행 가능한 모델이 있는 한 올바른 피처를 보유하는 것이 하이퍼파라미터 조정 같은 알고리즘 기법보다 큰 성능 향상을 이끌어내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Continue reading

[Designing Machine Learning Systems] 데이터 엔지니어링 기초

ML과 빅데이터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 장에서는 데이터 엔지니어링의 기본을 다룬다. 일반적인 ML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살펴보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포맷을 알아본다. 데이터 저장은 해당 데이터를 *검색(retrieval)할 경우 필요하다.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데이터 포맷뿐 아니라 데이터가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 알아야 한다. 데이터 모델은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저장된 데이터가 구조화되는 방식을 정의한다.

Continue reading

[Designing Machine Learning Systems] 머신러닝 시스템 개요

많은 사람들이 ‘머신러닝 시스템’이라고 하면 로지스틱 회귀나 신경망 같은 ML 알고리즘만 떠올리지만, 프로덕션 환경에서 ML 알고리즘은 시스템의 일부일 뿐이다.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고려해야하는 필수 요구사항과 배포, 운영 및 모니터링, 관리 과정을 전체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면서 MLOps가 등장했다.

Continue reading

[Designing Machine Learning Systems] 정리를 시작한 이유

최근 공부한 것들을 활용하여 무언가를 스스로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만들어보고 싶은 것을 만드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들을 찾고 공부하고 활용하면서 발전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내가 좋아하고 관심있는 것을 다루며 더욱 몰입할 수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예전부터 관심 있었던 금융 도메인에 ML을 접목한 무언가를 만들어 보려고 준비하고 있다.

Continue reading

Pagination


© 2023. by gimmaru

Powered by aiden